당뇨병 유전 고위험군, 인슐린 분비능력 1.8배 빨리 저하…생활습관 바꾸면 발병 지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이 작성일24-08-23 20:08
조회7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이 작성일24-08-23 20:08 조회7회관련링크
본문
유전적으로 당뇨병 위험이 클수록 인슐린 분비능력이 더 빨리 감소하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면 감소 속도가 더뎌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당뇨병 고위험군이라도 운동과 금연, 충분한 수면 등을 지속하면 발병을 늦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와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이현석 연구원은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도에 인스타 팔로워 따른 인슐린 분비능력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분석해 23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지역사회 당뇨병 코호트에 등록된 6311명을 2001~2016년 모두 7회 추적 관찰한 결과와 이들의 DNA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흔히 성인 당뇨병이라고 불리는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떨어져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2022년 국내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할 정도로 갈수록 유병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 발생에 대한 주요 예측지표인 ‘다유전자 위험점수’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유전적 위험도를 점수로 매기는데, 그간 이 지표를 장기적인 인슐린 분비능력 변화와 연관지어 분석한 연구가 없었던 탓에 연구진은 보다 구체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기로 했다.
연구에선 당뇨병이 없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유전체분석을 실시해 당뇨병 관련 유전자변이 여부를 확인한 후, 다유전자 위험점수에 따라 고위험군(상위 20%), 중간위험군, 저위험군(하위 20%)으로 구분했다.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 75g을 섭취한 뒤 2시간 지나 혈당 농도를 측정해 체내 혈당 조절능력을 평가하는 당부하검사의 결과를 비교해 보니 유전적 고위험군일수록 인슐린 분비능력이 낮았다. 저위험군에 비해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인슐린 분비능력이 각각 14%, 25%씩 낮았다.
14년에 걸친 당부하검사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인슐린 분비능력이 점차 감소했지만 고위험군의 감소폭이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의 인슐린 분비능력 감소 속도는 1.83배 빨랐다. 즉 인슐린 분비능력이 장기적으로 줄어드는 속도 역시 유전적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진은 다유전자 위험점수와 함께 5가지 건강한 생활습관(건강한 식단, 운동, 금연, 체중관리, 충분한 수면) 실천 여부에 따라 인슐린 분비능력 감소 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건강한 생활습관이 인슐린 분비능력 감소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특히 유전적 위험도가 높을수록 건강한 생활습관을 한 가지 더 실천할 때마다 효과도 더 커서 10년 후엔 인슐린 분비능력이 4.4%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다유전자 위험점수를 활용해 인슐린 분비능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당뇨병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으며, 고위험군은 특히 생활습관 개선으로 당뇨병 예방이나 발병 지연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수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발병 후 심각한 인슐린 결핍이 예상되는 환자를 유전정보에 따라 선별하고 조기 개입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뇨병 치료 분야에서 유전자 기반 정밀의료가 발전해 환자 맞춤형 당뇨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와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이현석 연구원은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도에 인스타 팔로워 따른 인슐린 분비능력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분석해 23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지역사회 당뇨병 코호트에 등록된 6311명을 2001~2016년 모두 7회 추적 관찰한 결과와 이들의 DNA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흔히 성인 당뇨병이라고 불리는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떨어져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2022년 국내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할 정도로 갈수록 유병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 발생에 대한 주요 예측지표인 ‘다유전자 위험점수’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유전적 위험도를 점수로 매기는데, 그간 이 지표를 장기적인 인슐린 분비능력 변화와 연관지어 분석한 연구가 없었던 탓에 연구진은 보다 구체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기로 했다.
연구에선 당뇨병이 없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유전체분석을 실시해 당뇨병 관련 유전자변이 여부를 확인한 후, 다유전자 위험점수에 따라 고위험군(상위 20%), 중간위험군, 저위험군(하위 20%)으로 구분했다.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 75g을 섭취한 뒤 2시간 지나 혈당 농도를 측정해 체내 혈당 조절능력을 평가하는 당부하검사의 결과를 비교해 보니 유전적 고위험군일수록 인슐린 분비능력이 낮았다. 저위험군에 비해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인슐린 분비능력이 각각 14%, 25%씩 낮았다.
14년에 걸친 당부하검사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인슐린 분비능력이 점차 감소했지만 고위험군의 감소폭이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의 인슐린 분비능력 감소 속도는 1.83배 빨랐다. 즉 인슐린 분비능력이 장기적으로 줄어드는 속도 역시 유전적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진은 다유전자 위험점수와 함께 5가지 건강한 생활습관(건강한 식단, 운동, 금연, 체중관리, 충분한 수면) 실천 여부에 따라 인슐린 분비능력 감소 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건강한 생활습관이 인슐린 분비능력 감소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특히 유전적 위험도가 높을수록 건강한 생활습관을 한 가지 더 실천할 때마다 효과도 더 커서 10년 후엔 인슐린 분비능력이 4.4%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다유전자 위험점수를 활용해 인슐린 분비능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당뇨병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으며, 고위험군은 특히 생활습관 개선으로 당뇨병 예방이나 발병 지연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수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발병 후 심각한 인슐린 결핍이 예상되는 환자를 유전정보에 따라 선별하고 조기 개입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뇨병 치료 분야에서 유전자 기반 정밀의료가 발전해 환자 맞춤형 당뇨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