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내 인생은 감옥에서 썩어버렸다”···조작된 간첩, 죽은 뒤에야 누명 벗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이 작성일24-08-23 11:59
조회8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이 작성일24-08-23 11:59 조회8회관련링크
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노모씨(53)는 17년쯤 전 장인어른과 함께 목욕탕에 갔던 순간을 잊지 못한다. 온통 만신창이인, 그런 몸은 처음 봤어요. 고인이 된 박모씨(1930년생)의 몸에 전신을 반으로 갈라놓은 듯한 흉터가 있었다. 온몸을 뒤덮은 흉터는 극도의 폭력이 남긴 흔적이었다. 아버님, 이게 어떻게 된 일입니까. 당황한 사위의 질문에 박씨는 아무 말이 없었다.
박씨는 한국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스무 살의 나이로 북한 의용군에 편입돼 북으로 끌려갔다가, 2년 뒤 월남해 자수·귀순했다. 경찰·국방부·유엔군이 뿌린 ‘삐라(대북전단)’에는 귀순하면 과거지사는 일절 묻지 않을 것이며, 신원을 보장하고 부모의 품으로 돌려보낼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박씨는 목숨을 걸고 전선을 건너왔다.
하지만 박씨를 기다리는 것은 국군 수사관의 고문이었다. 박씨는 허위자백을 강요당해 간첩 혐의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복역 16년 만에 가석방됐는데, 출소 1년 전쯤에야 가족에게 편지를 보낼 수 있었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국방경비법 위반 혐의로 불법 구금된 박씨에 대해 가혹행위가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국군 수사관들이 폭행·고문을 하고 조서에 강제로 지장을 찍게 한 사실이 인정됐다.
진실규명 뒤에는 사위 노씨의 노력이 있었다. 노씨는 결혼 5년 만에 장인의 과거를 알게 됐다고 했다. 그는 몸이 엉망이 될 정도의 폭력을 당했지만 평생의 짐이라 생각하셨기에 사위에게도 말을 안 하셨던 것이라고 했다. 노씨는 피해 사실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장인에게 기억을 글로 적어보자고 제안했다. 이렇게 해서 2007년부터 2년에 걸쳐 40여쪽 분량의 회고록이 작성됐고 진실화해위에 제출됐다.
회고록은 이렇게 시작한다. 나는 지나온 과거는 악몽 같아 다시 회상해 보고 싶지 않다. 1930년생 78세, 80을 바라보는 나이,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인생 무엇을 바라며 필을 들었는가. (중략) 내 인생은 감방 속에서 썩어버렸다. 이제는 흘러간 세월 되돌릴 수 없고 젊음도 되찾을 수 없다. 내 몸을 나무에 비하면 곳곳이 썩어들어가고 있다.
노씨의 전언과 회고록을 종합하면 박씨는 출소 뒤 아내를 만나 결혼했지만, 삶은 녹록지 않았다. 고향을 떠나 감옥에서 익힌 양복 기술로 양복점을 차렸지만 경찰의 사찰 탓에 오래가지 못했다.
박씨는 회고록 마지막 부분에 ‘조작된 간첩’으로 사는 고통을 적었다. 그는 시골은 작아서 소문은 면에 퍼진다. 얼마 지나니 나를 대하는 눈치가 달라진다. 경계하는 눈치, 비웃는 눈치. 아내도 시장에 나가면 여자들이 모여서 수군수군하다가 옆에 가면 피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고 썼다.
그는 과거 북한에서 생활한 것이 죄가 된다면 지금도 이북생활이 싫어 월남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들을 죄인으로 취급할 수는 없지 않나라며 정부에서도 이들에게 생활비를 주거나 취직을 시켜준다는 얘기를 TV나 신문에서 많이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는 왜 일평생을 굴레를 쓰고 살아야 하나. 얼마 남은 인생이지만 아이들에게 떳떳한 아버지가 되고 아내에게도 떳떳한 남편으로 하루라도 살다 죽으면 여한이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노씨는 장인의 피해가 진실화해위에서 인정됐다는 소식을 들은 다음 기자와 통화하면서 정의라는 게 있다는 걸 오랜만에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장모님도 울컥하시고,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아내도 제게 끝까지 신경써줘서 고맙다더라고 말했다. 노씨는 장인의 ‘국방경비법 위반 혐의’에 대해 재심 신청을 할 생각이라고 했다.
노씨는 진실화해위 진실규명 결정에도 불구하고 후속조치가 없어 재심 신청을 피해자·유족이 직접 알아봐야 한다는 사실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진실화해위 결정이 권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명예 회복 조치로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이어져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세관 직원이 연루된 마약 밀반입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관계자들이 국회 청문회에서 상반된 증언을 내놨다. 해당 사건을 수사한 서울 영등포경찰서의 당시 수사팀장은 대통령실의 외압으로 언론 브리핑이 연기되고 수사를 방해받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당시 영등포경찰서장은 대통령실 개입이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20일 마약수사 외압 의혹 관련 청문회를 열었다. 백해룡 경정(당시 영등포서 형사2과장·현 서울 강서경찰서 화곡지구대장)은 지난해 9월20일 김찬수 대통령실 행정관(당시 영등포서장)과의 통화 내용에 대한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오후 8시45분 전화가 와서 ‘브리핑할 거냐’고 갑자기 물어 놀랐다. ‘기자들과 약속했으니 당연히 해야 되는 것 아니냐’고 (답했다)고 말했다. 백 경정은 이어 오후 9시 조금 넘어 (김 행정관에게 다시) 전화가 왔고 브리핑을 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설명하니까 ‘용산에서 알고 있어서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김 행정관은 (용산 언급은) 전혀 안 했다고 곧바로 반박했다. 김 행정관은 어느 지휘관이 브리핑한 다음 압수수색을 하냐. 그러면 해당 기관에서 증거인멸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브리핑 연기는) 대통령실과 무관한 얘기고, 백 경정의 결정은 수사 상식에도 부합하지 않았고 본청에도 보고되지 않은 단계였다고 말했다.
영등포서는 지난해 9월 말레이시아 마약조직의 필로폰 밀반입 범행에 인천공항 세관 직원들이 연루됐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수사에 나섰다. 세관 관련 진술을 확보한 이후인 그해 9월20일 김 행정관은 언론 브리핑 연기를 지시했고, 이틀 뒤로 예정됐던 브리핑은 10월10일로 미뤄졌다.
당시 수사팀을 이끈 백 경정은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외압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백 경정은 본인(김 행정관)이 마약 압수 현장에서 진두지휘까지 했던 사건을 갑자기 브리핑도 막고 수사를 방해하게 된 계기가 용산이 아니면 설명이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김 행정관을 향해 본인이 (수사전담팀을) 꾸리라고 지시해 모든 명령을 하달했고 제가 그 명령을 받아 수행했는데 조직원들을 배신하고 제 등에 칼을 꽂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백 경정에게 전화를 걸어 ‘보도자료에서 관세청은 빼라’는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 조병노 경무관(당시 서울경찰청 생활안전부장·현 전남경찰청 생활안전부장)은 (백 경정에게 청탁한 적) 없다. 언론 브리핑 과정에서 세관 내용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을 듣고 (인천공항본부세관장에게) 전달한 것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실 관계자의 요청이 있었냐’는 질의에도 없었다고 답했다.
이날 증인으로는 김 행정관과 백 경정, 조 경무관을 포함해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 남제현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행정관, 김광호 전 서울청장, 고광효 관세청장 등이 참석했다. 윤희근 전 경찰청장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 증인 7명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박씨는 한국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스무 살의 나이로 북한 의용군에 편입돼 북으로 끌려갔다가, 2년 뒤 월남해 자수·귀순했다. 경찰·국방부·유엔군이 뿌린 ‘삐라(대북전단)’에는 귀순하면 과거지사는 일절 묻지 않을 것이며, 신원을 보장하고 부모의 품으로 돌려보낼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박씨는 목숨을 걸고 전선을 건너왔다.
하지만 박씨를 기다리는 것은 국군 수사관의 고문이었다. 박씨는 허위자백을 강요당해 간첩 혐의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복역 16년 만에 가석방됐는데, 출소 1년 전쯤에야 가족에게 편지를 보낼 수 있었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국방경비법 위반 혐의로 불법 구금된 박씨에 대해 가혹행위가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국군 수사관들이 폭행·고문을 하고 조서에 강제로 지장을 찍게 한 사실이 인정됐다.
진실규명 뒤에는 사위 노씨의 노력이 있었다. 노씨는 결혼 5년 만에 장인의 과거를 알게 됐다고 했다. 그는 몸이 엉망이 될 정도의 폭력을 당했지만 평생의 짐이라 생각하셨기에 사위에게도 말을 안 하셨던 것이라고 했다. 노씨는 피해 사실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장인에게 기억을 글로 적어보자고 제안했다. 이렇게 해서 2007년부터 2년에 걸쳐 40여쪽 분량의 회고록이 작성됐고 진실화해위에 제출됐다.
회고록은 이렇게 시작한다. 나는 지나온 과거는 악몽 같아 다시 회상해 보고 싶지 않다. 1930년생 78세, 80을 바라보는 나이,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인생 무엇을 바라며 필을 들었는가. (중략) 내 인생은 감방 속에서 썩어버렸다. 이제는 흘러간 세월 되돌릴 수 없고 젊음도 되찾을 수 없다. 내 몸을 나무에 비하면 곳곳이 썩어들어가고 있다.
노씨의 전언과 회고록을 종합하면 박씨는 출소 뒤 아내를 만나 결혼했지만, 삶은 녹록지 않았다. 고향을 떠나 감옥에서 익힌 양복 기술로 양복점을 차렸지만 경찰의 사찰 탓에 오래가지 못했다.
박씨는 회고록 마지막 부분에 ‘조작된 간첩’으로 사는 고통을 적었다. 그는 시골은 작아서 소문은 면에 퍼진다. 얼마 지나니 나를 대하는 눈치가 달라진다. 경계하는 눈치, 비웃는 눈치. 아내도 시장에 나가면 여자들이 모여서 수군수군하다가 옆에 가면 피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고 썼다.
그는 과거 북한에서 생활한 것이 죄가 된다면 지금도 이북생활이 싫어 월남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들을 죄인으로 취급할 수는 없지 않나라며 정부에서도 이들에게 생활비를 주거나 취직을 시켜준다는 얘기를 TV나 신문에서 많이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는 왜 일평생을 굴레를 쓰고 살아야 하나. 얼마 남은 인생이지만 아이들에게 떳떳한 아버지가 되고 아내에게도 떳떳한 남편으로 하루라도 살다 죽으면 여한이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노씨는 장인의 피해가 진실화해위에서 인정됐다는 소식을 들은 다음 기자와 통화하면서 정의라는 게 있다는 걸 오랜만에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장모님도 울컥하시고,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아내도 제게 끝까지 신경써줘서 고맙다더라고 말했다. 노씨는 장인의 ‘국방경비법 위반 혐의’에 대해 재심 신청을 할 생각이라고 했다.
노씨는 진실화해위 진실규명 결정에도 불구하고 후속조치가 없어 재심 신청을 피해자·유족이 직접 알아봐야 한다는 사실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진실화해위 결정이 권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명예 회복 조치로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이어져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세관 직원이 연루된 마약 밀반입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관계자들이 국회 청문회에서 상반된 증언을 내놨다. 해당 사건을 수사한 서울 영등포경찰서의 당시 수사팀장은 대통령실의 외압으로 언론 브리핑이 연기되고 수사를 방해받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당시 영등포경찰서장은 대통령실 개입이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20일 마약수사 외압 의혹 관련 청문회를 열었다. 백해룡 경정(당시 영등포서 형사2과장·현 서울 강서경찰서 화곡지구대장)은 지난해 9월20일 김찬수 대통령실 행정관(당시 영등포서장)과의 통화 내용에 대한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오후 8시45분 전화가 와서 ‘브리핑할 거냐’고 갑자기 물어 놀랐다. ‘기자들과 약속했으니 당연히 해야 되는 것 아니냐’고 (답했다)고 말했다. 백 경정은 이어 오후 9시 조금 넘어 (김 행정관에게 다시) 전화가 왔고 브리핑을 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설명하니까 ‘용산에서 알고 있어서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김 행정관은 (용산 언급은) 전혀 안 했다고 곧바로 반박했다. 김 행정관은 어느 지휘관이 브리핑한 다음 압수수색을 하냐. 그러면 해당 기관에서 증거인멸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브리핑 연기는) 대통령실과 무관한 얘기고, 백 경정의 결정은 수사 상식에도 부합하지 않았고 본청에도 보고되지 않은 단계였다고 말했다.
영등포서는 지난해 9월 말레이시아 마약조직의 필로폰 밀반입 범행에 인천공항 세관 직원들이 연루됐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수사에 나섰다. 세관 관련 진술을 확보한 이후인 그해 9월20일 김 행정관은 언론 브리핑 연기를 지시했고, 이틀 뒤로 예정됐던 브리핑은 10월10일로 미뤄졌다.
당시 수사팀을 이끈 백 경정은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외압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백 경정은 본인(김 행정관)이 마약 압수 현장에서 진두지휘까지 했던 사건을 갑자기 브리핑도 막고 수사를 방해하게 된 계기가 용산이 아니면 설명이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김 행정관을 향해 본인이 (수사전담팀을) 꾸리라고 지시해 모든 명령을 하달했고 제가 그 명령을 받아 수행했는데 조직원들을 배신하고 제 등에 칼을 꽂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백 경정에게 전화를 걸어 ‘보도자료에서 관세청은 빼라’는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 조병노 경무관(당시 서울경찰청 생활안전부장·현 전남경찰청 생활안전부장)은 (백 경정에게 청탁한 적) 없다. 언론 브리핑 과정에서 세관 내용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을 듣고 (인천공항본부세관장에게) 전달한 것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실 관계자의 요청이 있었냐’는 질의에도 없었다고 답했다.
이날 증인으로는 김 행정관과 백 경정, 조 경무관을 포함해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 남제현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행정관, 김광호 전 서울청장, 고광효 관세청장 등이 참석했다. 윤희근 전 경찰청장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 증인 7명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